본문 바로가기
ADHD 전문지식

ADHD의 뇌구조

by sunnyroo 2023. 11. 6.

 

ADHD의 뇌구조

ADHD 를 앓고 있는경우 뇌의 구조에서 왼쪽 전전두엽 피질의 부피가 감소되어 있습니다

후두엽 피질 또한 대조군에 비해 얇아져 있는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전전두의 세뇌전 및 전전두엽의 천골회로의 다른 뇌 구조도 ADHD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사이에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마, 편도체, 어금니의 피하 부피는 ADHD는 대조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MRI연구로 ADHD는 성장기 청소년들 사이에 뇌의 비대층이 현저한 차이가 있는 뇌의 백질의 차이를 밝혀내고 있습니다

MRI연구로 대조군의 뇌와 ADHD는  부주의 또는 과잉활동의 심각성이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행기능및 동기부여

 

ADHD는 특정 실행기능 (예를 들어 억제제어, 작업기억, 주의집중제어)의 결핍으로 발생합니다

실행기능은 어떤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용이한 행동을 선택하여 성공하고 모니터링하는 인지 과정 입니다.

 

ADHD에게 발생하는 실행기능 장애는 

감정조철 및 세부사앙 기억의 문제, 조직적유지, 주의 산만무시, 시간준수, 주의 집중, 과도한 지연, 집중력 유지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ADHD 를 앓고 있는 사람은 손상되지 않은 장기 기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면서도 장기 기억의 결손은 기억장애로 인한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뇌 성숙 속도와 나이가 들어가면서 실제 통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에 ADHD의 장애는 청소년기나 더 나아가 성인 초기까지도 나타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또한 ADHD의 다양한 경향으로 뇌성숙은 성인이 된 후 실행기능이 개선될수 도 있습니다.

 

ADHD는 아이들의 동기적인 결핍과도 관련이 있는 데 단기적 보상보다 장기적으로 집중해야 하는 것이 어렵고 , 단기적 보상을 위해서 충동적인 행동들을 보여줍니다.

신경활성물질에 대한 반응

중추신경계에서 신경활성 물질에 대한 반응은 환자의 10~20%정도입니다 치과의 국소마취제, 진정제, 카페인, 항히스타민제 및 중추 또는 말초진통제와 같은 신경활성물질에 반응하는 경우로 부분적으로 유전적이기에 예를 들어 수술전에 가족 구성원에게도 이러한 이상반응에 대해 묻는 것이 중요한 상황에서 유용할수 있습니다.

 

 

'ADHD 전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ADHD의 유형과 진단 및 치료  (0) 2023.11.07
ADHD의 진단  (0) 2023.11.07
ADHD의 원인들  (2) 2023.11.06
ADHD의 외상및 자살위험과 IQ  (0) 2023.11.06
ADHD의 동반질환에 대하여  (1) 2023.11.04